안녕하세요
사랑채 블로그입니다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부과기준과 계산기 활용법 완벽 정리
재산세 얼마 나올까? 직접 계산하는 방법부터 납부 일정까지 알아보세요
아파트 보유자라면 매년 7월과 9월마다 도착하는 재산세 고지서를 한 번쯤은 긴장하며 받아보셨을 겁니다. 2025년에도 마찬가지로 재산세는 일정 기준과 절차에 따라 부과되며, 공시가격과 세율에 따라 납부 금액이 결정됩니다. 이 글에서는 재산세의 부과 기준, 납부 시기, 계산기 사용법까지 모두 쉽게 설명드립니다.
재산세 납부기간은 매년 7월과 9월
아파트 재산세는 주택분으로 분류되며, 보통 다음과 같이
2회에 걸쳐 부과됩니다.
구분 납부 대상 납부 기간
1기분 | 주택분(1/2), 건축물 | 2025년 7월 16일 ~ 7월 31일 |
2기분 | 주택분(1/2), 토지 | 2025년 9월 16일 ~ 9월 30일 |
단, 연간 재산세가 20만 원 이하일 경우 7월에 전액 부과됩니다.
기한 내 미납 시 가산세가 붙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기간을
지켜 납부하셔야 합니다.
부과 기준일은 6월 1일, 소유자 기준 확정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해당 부동산의
소유자에게 부과됩니다. 이 날짜 이후에 매매 계약을
체결하더라도 재산세 납세 의무자는 기준일 소유자입니다.
매도인과 매수인 간의 재산세 분담 여부는 사적 계약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공시가격과 공정시장가액비율로 과세표준 산정
재산세는 아파트의 공시가격에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해
과세표준을 산정하고, 이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2025년 기준 공정시장가액비율은 60%로 유지됩니다.
항목 계산 방식
과세표준 | 공시가격 × 60% |
세액 |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 적용 |
예를 들어 공시가격이 5억 원이라면 과세표준은 3억 원이
되며, 여기에 해당 구간 세율을 적용해 재산세가 계산됩니다.
누진세율 구조로 세금 차이 발생
아파트의 과세표준 금액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 구간 재산세율
6천만 원 이하 | 0.1% |
6천만 원 초과 ~ 1억5천만 원 이하 | 0.15% |
1억5천만 원 초과 | 0.25% |
즉, 고가의 아파트일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되며,
누진 구조에 따라 세액이 빠르게 증가하게 됩니다.
재산세 계산기 사용 방법은?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지방세 재산세 계산기를 활용하면
예상 세액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위택스(www.wetax.go.kr)’ 사이트를 추천드립니다.
계산기 사용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순서 내용
1단계 | 위택스 접속 후 ‘지방세 미리계산’ 메뉴 선택 |
2단계 | ‘주택 재산세’ 항목 클릭 |
3단계 | 아파트 공시가격 입력 |
4단계 | 1세대 1주택 여부, 지역 입력 |
5단계 | 자동 계산된 예상 재산세 확인 |
예상 세액은 실제 고지 금액과 소폭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공시가격 기준에서 큰 차이 없이 확인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1세대 1주택자 감면 혜택 꼭 확인하세요
공시가격 9억 원 이하 1세대 1주택자는 세율 특례 적용으로
재산세 부담이 줄어듭니다. 특히 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감면이 적용됩니다.
조건 혜택 내용
공시가격 6억 원 이하 | 세액 100% ~ 50% 감면 (차등 적용) |
고령자+장기보유 | 세액 최대 80% 공제 병행 가능 |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는 자동 적용되며, 감면 여부는
고지서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시가격 이의신청으로 과도한 세금 조정 가능
공시가격이 지나치게 높다고 판단되면 매년 4월~5월 사이
이의신청 기간에 지방자치단체 또는 국토교통부 홈페이지를
통해 정정 요청이 가능합니다. 공시가격이 낮아지면
과세표준도 줄어들어 재산세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되는 좋은글
2025.07.07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 및 부과기준 총정리
2025.07.05 - [분류 전체보기] - 18세부터 국민연금 자동가입, 왜 이렇게 바뀌었을까?
2025.07.05 - [분류 전체보기] - 이거 모르면 전기세 폭탄 맞습니다! 에어컨 하루 종일 틀어도 될까? 전기 요금 줄이는 현실 꿀팁
2025.07.05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 반기 근로장려금 신청기간 및 대상 총정리 (산정표 포함·자동 신청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