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부터 부과기준, 계산법까지 총정리

by 사랑채님의 블로그 2025. 7. 10.
반응형

안녕하세요

사랑채 블로그입니다

 

2025년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부터 부과기준, 계산법까지 총정리

재산세, 언제 얼마 내야 할까? 기준부터 계산법까지 완벽 정리해드립니다


2025년에도 아파트 소유자라면 꼭 알아야 할 세금이 바로 ‘재산세’입니다. 납부 시기를 놓치면 가산세가 부과되고, 공시가격이나 세율 구조를 잘못 이해하면 예상보다 많은 금액을 부담하게 될 수 있습니다. 특히 1세대 1주택자라면 적용되는 세금 감면 기준도 달라질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아파트 재산세 납부 기간, 부과 기준, 계산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2025년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부터 부과기준, 계산법까지 총정리

재산세 납부의 모든것 바로가기


납부기간은 7월과 9월, 2회 분할 납부 원칙

아파트 재산세는 주택분으로 분류되어 연 2회로 나눠 납부하게 됩니다.
건축물과 주택 1기분은 7월, 토지와 주택 2기분은 9월에 부과됩니다.

구분 납부 대상 납부 기간

1기분 주택(1/2), 건축물 2025년 7월 16일 ~ 7월 31일
2기분 주택(1/2), 토지 2025년 9월 16일 ~ 9월 30일

단, 재산세 총액이 20만 원 이하일 경우에는 7월에 전액 일괄 부과됩니다.
기한 내 미납 시 3%의 가산금이 부과되므로 납부기한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과세 기준일은 6월 1일, 소유자 기준으로 결정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아파트 소유자에게 부과됩니다.
즉, 6월 1일 현재 등기부등본상 소유자가 해당 연도의 전체 재산세
납부 의무를 지게 됩니다. 부동산 거래 시 계약서에 세금 분담 조항이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재산세 부과 기준은 공시가격과 공정시장가액비율

아파트 재산세는 해당 주택의 공시가격에 **공정시장가액비율(60%)**을
곱하여 과세표준을 구한 뒤, 여기에 세율을 적용해 산정합니다.

항목 내용

공시가격 기준 2025년 1월 1일 공시 기준가
공정시장가액비율 60% (2025년 유지)
과세표준 계산식 공시가격 × 60%

예시: 공시가격 5억 원 × 60% = 과세표준 3억 원

이 과세표준에 따라 세율을 적용해 재산세가 계산됩니다.

2025년 달라지는 지방세 바로가기


누진세율 적용… 고가일수록 세율 상승

2025년 아파트 재산세는 다음과 같은 구간별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 구간 적용 세율

6천만 원 이하 0.1%
6천만 원 초과 ~ 1억5천만 원 이하 0.15%
1억5천만 원 초과 0.25%

과세표준이 3억 원일 경우,
6천만 원까지는 0.1%,
그 다음 9천만 원은 0.15%,
나머지 1억5천만 원은 0.25%로 세분 계산됩니다.


1세대 1주택자는 세부담 완화 혜택 적용

공시가격 9억 원 이하의 아파트를 보유한 1세대 1주택자는
세율 특례 적용으로 재산세 부담이 줄어듭니다.
특히 공시가격 6억 원 이하의 경우 다음과 같은 감면 혜택이
자동 적용됩니다.

공시가격 구간 감면율

3억 원 이하 재산세 100% 감면
3억 원 초과 ~ 6억 원 이하 재산세 50% 감면

또한, 고령자 또는 장기보유자(10년 이상)는 최대 80%까지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어 추가 절세가 가능합니다.


간편한 재산세 계산기 사용법

인터넷에서 ‘위택스(www.wetax.go.kr)’ 또는
‘정부24’의 지방세 계산기 기능을 활용하면
예상 재산세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계 절차 내용

1 위택스 접속 후 ‘지방세 미리계산’ 선택
2 ‘주택 재산세’ 클릭
3 공시가격, 지역, 1세대 1주택 여부 입력
4 자동 계산된 예상 세액 확인

예상 세액은 실제 고지서와 소폭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공시가격이 정확하다면 큰 오차 없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체 시 가산세·중가산세 주의

납부기한을 넘기면 3%의 가산세가 즉시 부과되며,
1개월마다 1.2%씩 중가산세도 추가됩니다.
장기 미납 시 체납 처분으로 압류까지 이어질 수 있으므로
기한 내 납부가 필수입니다. 고지서 없이도 위택스나
모바일 납부 앱을 통해 조회 및 납부가 가능합니다.

생활꿀팁 바로가기


함께 보면 도움되는 좋은글

2025.07.07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한과 부과기준 총정리

2025.07.07 - [분류 전체보기] -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부과기준과 계산기 활용법 완벽 정리

2025.07.07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 및 부과기준 총정리

2025.07.07 - [분류 전체보기] -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확정안서 소폭 증가 확정!

2025.07.05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 반기 근로장려금 신청기간 및 대상 총정리 (산정표 포함·자동 신청 가능)

반응형